컴퓨터네트워크 (3) 썸네일형 리스트형 네트워크 통신의 기본 뼈대 (회선 교환 vs 패킷 교환 ) 이번 포스팅에서는 네트워크 통신의 기본적인 구조에 대해서 알아보려고합니다. 모두들 컴퓨터 네트워크와 관련된 이론을 어려워 하는 이유는 이러한 통신들이 눈에 보이지 않을 뿐더러, 용어 자체가 어렵기 때문이라고 생각합니다. OSI 7계층, TCP/IP(Internet Protocol Suite) 등 통신이 어떻게 이루어지는지 이해가 되지 않는데, 그것의 구조와 프로토콜을 이해하려고 하니 당연한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필자 또한 해당 내용에 대한 정리를 해보고 싶어 이번 포스팅 글을 써보기로 결정하였습니다. 기본적인 네트워크 통신 방식을 이해하기 위해서 데이터 통신을 하는 방법에 대해 먼저 이야기 해보려고 합니다. 데이터 통신 방식으로 비교적 옛날에는 '회선 교환' 방식을 활용하였습니다. 회선 교환(Circui.. 네트워크 보안 - [대칭암호와 난수에 관하여] 포스팅에 앞서 이 글은 네트워크 보안 에센셜6판(수정판) by William Stallings 교수님의 책을 정리한 것임을 알립니다. 1. 대칭 암호의 원리 기본적인 대칭 암호의 원리와 그 요소 대칭 암호구조의 요소 1) 평문 : 원문이나 데이터로 알고리즘의 입력에 이용되는 문서 혹은 파일 2) 암호 알고리즘 : 평문을 다양한 방법으로 치환 변환하는 알고리즘을 일컫는다. 3) 비밀키 : 평문과 함께 알고리즘의 입력으로 사용되며, 이용함으로써 알고리즘에서 정확한 대체와 전환이 이루어짐 4) 암호문 : 출력으로 나오는 암호화된 메세지 5) 복호 알고리즘 : 근본적으로 암호 알고리즘을 역으로 수행하는 것과 같다. 대칭 키 사용에 알아야하는 필수적인 조건 1) 강한 암호 알고리즘 공격자가 암호 알고리즘에 해당하.. 네트워크 보안에서의 컴퓨터 보안 개념 컴퓨터 보안 [CIA 트라이어드를 사용한 보안 목적의 정의 (이론적 의미)] by NIST 컴퓨터 보안 핸드북 "정보 시스템 자원의 무결성, 가용성 기밀성을 보전하고자 하는 목표 달성을 위해 제공된 자동화된 정보 시스템 보호." [핵심 보안 요구사항] 무결성 : 부적절한 정보 수정이나 정보 파괴를 막는 것. 무결성을 상실하면, 정보가 무단으로 수정되거나 파괴된다. 가용성 : 정보 사용에 있어 시간성과 신뢰성 있는 접근을 의미. 가용성 상실시, 정보 시스템의 사용이나 접근이 불가. 무결성 : 부적절한 정보수정이나 정보 파괴를 막는 것. (인증성) : 진짜라는 성질을 확인할 수 있고 신뢰할 수 있다는 것. (책임성) : 보안 목적에는 개체의 행동을 유일하게 추적해서 찾아낼 수 있어야 한다는 사항이 포함되어야.. 이전 1 다음